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판화는 동일한 이미지를 여러 번 찍어낼 수 있는 독특한 예술 기법

by 다정판화 2025. 3. 10.

판에 그림을 새기거나 그려서 잉크를 묻힌 후 종이나 천에 인쇄하는 방식이지.

크게 볼록판화, 오목판화, 평판화, 공판화 네 가지로 나뉘어짐.

 

1. 볼록판화 (Relief Print)

  • 판의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묻혀 찍는 기법.
  • 대표적인 기법: 목판화, 고무판화, 리놀륨 판화
  • 예시: 한국의 목판 인쇄술(팔만대장경, 훈민정음 해례본)

특징
✔ 칼로 조각해서 선이 단순하고 강한 느낌
✔ 찍었을 때 판의 질감이 살아남
✔ 초보자가 비교적 쉽게 시도할 수 있음


2. 오목판화 (Intaglio Print)

  • 판에 홈을 파고, 그 안에 잉크를 채운 후 종이에 강한 압력을 주어 찍어내는 기법.
  • 대표적인 기법: 에칭(Etching), 드라이포인트(Drypoint), 메조틴트(Mezzotint)
  • 예시: 유럽의 고전적인 동판화 기법

특징
✔ 선이 섬세하고 깊이감 있는 표현 가능
✔ 세밀한 묘사가 필요한 작품에 적합
✔ 제작 과정이 까다롭고 인쇄에 압력이 필요


3. 평판화 (Planographic Print)

  • 물과 기름이 반발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판의 표면에 그림을 그린 후 인쇄하는 기법.
  • 대표적인 기법: 석판화(Lithography), 모노타이프(Monotype)
  • 예시: 피카소, 샤갈 등이 즐겨 사용한 기법

특징
✔ 부드러운 명암과 디테일한 표현 가능
✔ 회화적인 느낌이 강함
✔ 과정이 다소 복잡하지만, 다양한 표현이 가능


4. 공판화 (Stencil Print)

  • 판에 구멍을 내어 잉크가 필요한 부분만 통과하도록 찍는 기법.
  • 대표적인 기법: 실크스크린(Screen Print), 스텐실(Stenciling)
  • 예시: 앤디 워홀이 사용한 실크스크린

특징
✔ 색을 선명하고 평평하게 표현할 수 있음
✔ 원본 손상 없이 여러 장을 찍어낼 수 있음
✔ 천, 나무, 금속 등 다양한 재료에 인쇄 가능


그 외 실험적인 판화 기법

  • 시아노타입(Cyanotype) – 햇빛으로 감광하여 파란색 이미지를 만드는 기법.
  • 콜라그래프(Collagraph) – 다양한 재료를 붙여 질감을 살려 찍어내는 기법.
  • 젤라틴 프린팅(Gelatin Print) – 젤라틴 판 위에 물감을 올려 찍어내는 기법.

💡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?
볼록판화: 종이판화, 목판화 등으로 초보자도 쉽게 시작 가능
오목판화: 정밀한 드로잉이나 섬세한 표현이 필요할 때
평판화: 감성적인 분위기나 유화 같은 느낌을 내고 싶을 때
공판화: 패브릭, 굿즈 제작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